스트레스DSR이 3%로 상향됨에 따른 소득별 대출한도 표로 정리하여 안내드립니다. *대출 시기에 신용대출, 담보대출 등 다른 부채가 없는 상태 기준입니다. (당일 기존 대출 상환 조건도 가능) 모든 소득별 한도를 정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정도 금액이다 참고만 해주시고, 자세한 내용은 부동산계산기를 통해서 직접 계산해보시거나 따로 요청해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 ) **기준 10월 17일 금리기준 IM뱅크 30년만기 전자계약 시 3.9% 우리은행 30년만기 전자계약 시 4.0% 국민은행 30년만기 전자계약 시 4.03% 삼성화재 30년만기 4.2% 1금융권 4.0%를 기준으로 주기형 - 1.2% 가산 혼합형 - 2.4% 가산 변동형 - 3.0% 가산 2금융권 4.2%를 기준으로 주기형 - 1.2% 가산 혼합형 - 2.4% 가산 변동형 - 3.0% 가산 시 가능한 소득별 대출한도 안내드립니다. ※ 금융사에 따라 주기형, 혼합형이 다를 수 있으니 소득에 따른 계산값은 참고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연소득 5,000만원 연소득 6,000만원 연소득 7,000만원 연소득 8,000만원 연소득 9,000만원 연소득 1억원 연소득 1억 2,000만원 연소득 1억 2,000만원 초과로는 금리 4.0% 기준 사실상 6억한도에 모두 걸리기 때문에 한도 산출에 의미가 없습니다. 이상으로 소득별 ST DSR단계에 따른 대출한도 안내드렸습니다. 위 내용은 소득별 대출한도이기 때문에 담보물에 대한 LTV비율은 안내되지 않았습니다. 비규제지역 기준 LTV 70% 규제지역 기준 LTV 40%는 충족되어야 하며, 다주택자의 경우 비규제지역 기준 LTV 60% 수도권은 사실상 불가 입니다. *LTV는 KB시세 대비 대출한도 입니다. KB시세가 없을 경우 [ KB시세 > 테크가 > 감정가 ] 순으로 적용됩니다. 그 외 매일 변동되는 대출금리 확인 등 사소한 내용이라도 상담이 필요하신경우 댓글남겨주시면 확인되는대로 답변 남겨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