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토공 박민식입니다 오늘은 직장인분들 보다 자영업자분들 이야기를 조금 할까 합니다 제가 일을 하면서 아무래도 직장인분들 보다는 상대적으로 사장님이나 대표님들과 통화를 많이 하게 되는데요 예전에 경기 호황이었던 90년대 지나고 매번 많은 분들과 경제이야기를 할 때면 매번 어렵다는 이야기를 많이 드는거 같습니다 매년 어렵다고만 이야기하는 것이 정말 답인가 그렇게 느낄때가 있습니다 뒤돌아 보면 어렵던 해도 매우 좋은 성과나 좋은 지표로 나타나 오히려 잘 된 해도 많았거든요 지금까지는 가지고 있는 것으로 어떻게든 버텼다고 하지만 앞으로의 우리나라 경기전망을 보면 낙관적으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이 없는 것과 사실입니다 이런부분을 어떻게 타계할 수 있는지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이런 경제 산업이라는 게 분명 잘되는 쪽이 있으면 안되는 쪽이 있는데요 앞으로의 Ai 시대를 생각하면 많은산업이 이 Ai에 잠식당할 것으로 보는데 이런 부분을 많은 분들이 한편으로는 걱정하고 계실꺼라 생각됩니다 언제라고 딱 말씀드리긴 그렇지만 예전에 100%로 비율로 보자면 잘되는 사람들이 20% 중간정도 하는 사람이 40~60% 실패나 잘 안되시는 분들이 20% 정도로 느꼈습니다. 근데 지금은 어떤지 아십니까? 이 비율이 1:3:6으로 느껴집니다 인터넷과 유통,무역의 발달로 이렇게 바뀌었다고 생각되고 앞으로는 Ai로 이 격차는 더 커질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은 월등히 시장을 독정해서 잘사는 것이고요 3은 중간정도고 6이 힘든 것이지요 이 글을 읽는 많은 분들의 현재 일하시고 있는 분야에서 최고의 0.1%로 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이 되네요 앞으로 우리나라의 구조를 보면 저출생, 고령화로 일할 수 있는 인구는 줄어들고 전망은 밝지만은 않은데요 한국이 투자로써 메리트가 떨어지고 있는거 같아 아쉽네요 이런 문제를 좋은 방향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병행되야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1. 기술발전 세계화 주도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자원없고 기술력과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이지요 미국은 내수경제로만 돌아갈 것 같은데 우리나라는 내수경기로는 살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사실 세계가 실시간 시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한 시대에 저희가 살고 있는데요. 좋은 기술 개발로 전세계 진출하는 한국기업들이 많아 졌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2. 핵심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위의 내용과 이어지는 내용인데요. K컬쳐, K드라마, K푸드, K영화 등등 우리나라 세계적으로 많이 주목받는 산업이 많은거 같습니다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한다면 경제부양 도움 된다고 생각합니다 3. 부동산, 토지 이것은 사실 해결책 제안은 아니고요. 저도 제가 일하는 분야를 많이 생각하고 다각도로 바라보는 편입니다 자영업자분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토지쪽을 어떻게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을까 연구를 많이 합니다 앞으로 일본처럼 빈집도 많이 늘어날 것 같고 토지개발도 다른형태로 바뀔꺼 같습니다 그리도 수도권은 괜찮습니다. 지방에서 인구가 계속 유입되고 있어서 오히려 경기도 인구는 늘고 있습니다 실버타운이나 요양원시설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앞으로도 더 늘어날거 같네요 30~40년 뒤에는 그 시설을 또 어떤식으로 활용될까 궁금하기도 하네요 여튼 부동산은 입지가 참 중요하기 때문에 그 부분 잘 고려하셨으면 합니다 입지가 좋다면 나중에 매매 하기도 좋고 다른 용도변경 하기도 용이 할 수 있습니다. 두서 없이 여러가지 이야기 했는데 결론은 우리나라 발전과 세계화 그리고 토지 관련 질문 환영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