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서울 부동산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 무척 궁금해한다.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끼치는 큰축은 무엇일까? 첫 번째는 공급량이다.아래 그래프는 부동산 트렌드 2025 서적에서 발췌한 자료이다. 그래프에 나와있는 것처럼 서울 부동산 입주 물량은 '26~'27년까지 급감한다. 그래프에는 없지만 '28년도 물량이 적기는 매한가지다. 서울 부동산에 대한 수요는 넘쳐나는데 물량은 없다? 답은 정해져 있다.두번째는 장단기 이동평균선이다. 단기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는 2024년부터 서울 부동산 빅사이클은 시작되었다. 그래프에서 보는 것처럼 단기가 장기 아래로 꺾이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했던 '22년부터 26개월 간 조정이 있었다. 그리고 다시 단기가 장기를 뚫고 올라간 골든크로스가 발생한 '24년부터 서울 부동산의 빅사이클이 시작되었다. 물론 우리나라는 부동산을 자극하지 않고자 금리인하에 신중한 상태이다. 대출도 옥죄면서 부동산 상승을 억제하고자 한다. 하지만 M2통화량을 보라. 글로벌 유동성이 전월 대비 1.2% 증가했고,미국 M2는 역사적 전고점을 돌파했다. 그 뜻은 현금이 쓰레기가 된다는 거다. 결국 유동장세에서 금,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은 꼭 있어야 한다. 그래야 나만 벼락거지되는 리스크를 헷지할 수 있다. 향후 서울부동산이 오를 때마다 정부는 규제를 강화하겠지만 규제만으로는 상승세를 막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문재인 정부때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빅 사이클 중간중간 단기 조정이 있을 순 있지만최소 '30년까지는 상승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주식, 부동산, 금 오른다고 겁먹지 말고기회가 있을 때 투자하는 자세를 갖으시길! 내년엔이미 오른 강남, 용산도 좋지만 2급지인 마포, 성동, 서대문과 아직 안 오른 노도성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ttuttui&logNo=224024972512&navType=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