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월 20일 토허제 시행 전까지 카오스 상태 - 매수자와 매도자가 엉켜서 매매와 급매물 등장. - 매수세력 1) 갭투자를 원하는 사람 2) 최근 매도해서 상급지 등으로 갈아 타려고 하는 사람(당장 갈곳을 찾아야함) 3) 서울 입성을 원하는 실 수요자들이 엉켜서 거래를 주도. - 매도세력 1) 현금 보유 능력자들중 토허제 시행 전 상급지로 갭투를 원하는 사람 2) 최근 상승분을 반영하여 근처로 점핑 하려는 실 수요자들 2. 10월 20일 토허제 시행 후 부동산 거래 급감 - 급매물 등장, 실 수요자 외에는 부동산 거래 사라짐. 눈치보는 시기로 변동성 크지 않으며 일부 부동산은 소폭 하락. 3. 3-4개월 후 이사철 시즌 돌입 - 토허제가 시행 되면서 집주인들이 전세입자들을 내쫓고 본인이 살겠다고 함. - 전세입자들의 수요가 급증할 것이고, 전세 값 폭등을 야기 - 전세 값 폭등에 따른 전세 실 수요자들의 불만 폭주. -> 당 지지도 하락하면서 부동산 정책 수정을 요구. - 이후 전세 매물이 없어지고, 아파트 매매값과 차이가 크지 않게 되면 전세 수요들이 아파트 매매로 이동. - 아파트 매매 값 재상승. 4. 부동산 시장 재상승에 따른 정부의 보유세 추가 등의 대책 발의 이렇게 될 것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고수분들은 어찌 생각하시는지 공유 좀 부탁 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