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계약할게요" vs "취소할래요"....대책 앞둔 한강벨트 '온도차' 입력2025.10.14. 오후 3:48수정2025.10.14. 오후 3:53 정부의 추가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현장에선 계약을 서두르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다만, 일부 갭투자자를 중심으로 대책 발표 이후 집값 조정 가능성을 우려해 계약을 취소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1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대책 발표를 예상하고 계약을 서둘러 체결하려는 문의가 늘고 있다. 앞서 대통령실과 정부,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2일 당정대 회의를 열고 이번 주 중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기로 했다. 6·27 대출 규제와 9·7 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 이은 현 정부 들어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을 준비 중인 것이다. 성동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대책 발표를 예상하고 계약금과 잔금을 빠르게 내려고 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광진구 현대프라임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도 "매수 문의가 꾸준히 있고, 거래가 될 때마다 신고가가 나온다"고 말했다. 반면 규제가 시장의 충격을 줄 경우 가격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 계약을 취소하거나 관망하는 사람들도 있다. 성동구 래미안옥수리버젠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갭투자자(전세 끼고 매매)들이 규제 이후 조정이 나올 것으로 보고 집을 둘러보는 것과 계약을 다 취소했다"며 "실입주자도 관망하고 있다"고 했다.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인근 공인중개업소에서는 "지난 주말 전에는 문의가 좀 있었는데 이번 주 대책이 발표된다고 하면서 문의가 끊겼다"고 말했다. 현재 시장에서 유력하게 거론되는 방안은 '규제지역 확대'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규제지역 확대가) 일단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포와 성동, 광진 등 한강벨트 지역은 최근 집값이 급등한 지역으로, 특히 성동은 올해 들어 누적 상승률이 12%에 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