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제목⌗재건축 정보(1) - "우리 집 25평인데요?"... 공사비는 60평으로 청구됩니다.2025-10-20 02:08
작성자

0. 서론

재건축 시 30평대 1개를 짓는데 들어가는 

더파크 비스타 동원 부산 울산 경남 아파트 분양

순수 건축비, 즉 공사 원가는 얼마일까요?

재건축 조합원 분들의 기본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이 부분을 한번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비용을 계산하기 위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4가지 면적'에 대한 정확한 개념 이해부터입니다. 

① 전용면적

현관문을 열고 안쪽으로 모든 공간입니다.

'집주인이 거주하며 사용하는 완전한 사적 공간이죠.

즉 각 세대가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부분의 바닥면적으로

- 거실, 주방, 침실, 화장실, 현관 등이 모두 포함

- 발코니는 '서비스 면적'으로, 전용면적 제외입니다.

전용면적은 청약 자격과,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됩니다. 

- 1평 = 3.3058m²으로 계산해 본다면,

- 전용 84m² (국평) = 약 25.4평

- 전용 59m² (소형평) = 약 17.8평

전용 면적은 측정 방식이 변화되어 왔는데요.

과거에는 중심선치수(벽체 포함)로 측정했습니다.

- 1998년 이전 지어진 아파트에 적용된 방식

- 벽 두께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면적 측정

전용면적 수치 안에 '벽 두께의 절반'이 포함되어

실제 면적이 표기된 숫자보다 좁았었죠.

다만 현재는 '안목치수(벽체 제외)'로 측정합니다.

- 본격적으로 2000년대 초반 입주 아파트에 적용됨

- 벽 안쪽, 눈에 보이는 내부 공간을 기준 면적 측정

따라서, 표기된 면적이 100% 실제 사용 공간이 되었습니다.

이에 25평이 방 3, 화 2가 가능해지며 큰 혜택을 봤습니다.

- 전용 50평에서 벽 면적 2평을 얻는 것(체감 4%)

- 17.8평(59m²)에서 2평을 얻는 것(체감 11% 이상)

② 공급면적

‘분양 평수’ 기준이며, 우리가 흔히 "집 몇 평이야?"

라고 물을 때 답하는 '25평', '34평'의 기준이 됩니다.

또한, 네이버부동산에도 공급면적(m²)으로 표기되죠.

⌜②공급면적 = ①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여기서 (*)주거공용면적이 더해집니다.

- 다른 세대와 함께 써는 면적입니다.

- 아파트의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홀 등

다만, '공급면적'은 법적 기준이 아닌, 시장에서 통용되는 

아파트의 '체급'을 나타내는 관습적 지표로 불립니다.

또한, 설계하기 나름이라, 특히 중대형 평형에서 

평형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 전용 99m²(약 29.9평)라도 주거공용면적 설계

- 공급면적을 125m²(약 38평), 

- 혹은 135m²(약 41평)로 만들 수도 있지만,

앞자리 무게감이 다르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서

이왕이면 앞자리를 늘려 고급스럽게 보이는 게 좋겠죠.

③ 계약면적 (*중요)

계약면적은 공급면적에 ‘기타공용면적'까지 

모두 합친, 가장 광범위한 면적 기준이 됩니다.

- 단지 전체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모든 부대시설 면적

- 지하주차장, 관리사무소, 커뮤니티 시설, 기계실 등

⌜③계약면적 = ②공급면적 + ③기타공용면적⌟

재건축 시공사가 조합에게 청구하는 

'평당 공사비'의 기준이 되는 면적이 됩니다.

우리가 보통 '평당 공사비가 1,000만 원 이래'라고 하면

이는 '계약면적'의 1평당 1,000만 원을 의미합니다.

공급면적 31평 아파트로 예시를 볼까요?

- 내가 받을 새 아파트의 전용면적(84m²) = 25평

- 복도/계단(주거공용) 면적 = 10평

- 지하주차장 및 커뮤니티(기타공용) 면적 = 15평

- 나의 계약면적 = 25 + 10 + 15 = 50평

- 이 경우, 내 집 한 채를 짓기 위한 총공사비는?

50평 × (평당 공사비 1,000만 원) = 5억 원

물론 재건축을 한다면 넓은 전용면적'뿐만 아니라

'쾌적한 지하주차장’, ‘스카이브릿지’, '고급 커뮤니티’ 등

물론 다 좋지만, 기타 공용면적이 늘어날수록 

계약면적이 커지고, 이는 총공사비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고급화의 정도는 많은 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④ 서비스면적

서비스면적은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그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는 면적입니다.

법적으로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되는 공간이며

세금(취득세, 재산세 등) 산정의 기준이 되는 

전용면적에도 포함되지 않은 공간이죠.

분양 시 소비자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면적이라는 

의미로 '서비스면적'이라는 관행적 용어가 굳어졌습니다.

실제 서비스면적의 99%는 '발코니'인데요.

건축법상 건물 외벽에 접하여 추가로 설치되는 공간으로

외벽으로부터 폭 1.5m 이내 공간은 바닥면적

즉 용적률 계산에서 제외하게 됩니다.

건설사는 이 법적 혜택을 이용해, 전용면적(예: 84m²) 

외부에 1.5m 폭의 발코니 공간을 최대한 길게 둘러서

'서비스면적'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죠.

아무튼, 2005년 12월부로 발코니 '확장'이 합법화되어

입주자는 발코니 확장을 통해 전용면적으로 활용합니다.

따라서 실제 거주 면적, 즉 '실평수'는

⌜실평수 = ①전용면적 + ④서비스면적⌟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건축비 추정 공식(약식)

이제 본론으로 돌아와서,

신축 아파트(재건축)를 지을 때 조합원이 부담해야 할 

공사비를 추정하는 핵심 개념은 '③계약면적'입니다.

시공사는 조합원에게 '전용면적'이 아닌, 

지하주차장과 모든 공용시설을 포함한 

'③계약면적' 기준 공사비를 청구하기 때문입니다.

건축비(추정) = 평당 공사비 × ③계약면적

최신 3세대 프리미엄 아파트 기준으로 

계약면적을 추정하기 위한 약식은 아래와 같이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③계약면적 = ①전용면적 x 2.4」

여기서 2.4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즉, 전용면적을 '1'이라고 한다면, 

그 외 공용면적은 전용면적보다 1.4배나 더 많은 

'1.4' 가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즉 아래와 같다고 보면 되겠죠

전용면적(1) + 공용면적(1.4) = 계약면적(2.4)

3. 아파트 세대별 수치

특히, 2.4라는 높은 수치는 

'3세대형 아파트'의 특징에서 비롯되는데요,

1세대 아파트 (1980년대 ~ 1990년대 초)

- '주거' 기능에만 집중. 

- 대부분 지상 주차장이며, 커뮤니티 거의 없음

- 계약면적 배율: 약 1.8배 미만

2세대 아파트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중반)

- 대규모 지하주차장이 의무화되기 시작

- 세대당 1대 수준의 주차 공간 확보

- 계약면적 배율: 2.0배 내외

3세대 아파트 (2000년대 후반 ~ 현재)

- 고급화 및 차별화 경쟁 

-주차공간특화, 커뮤니티 시설 등

- 계약면적 배율: 약 2.4배

4세대 아파트 (현재 ~ 미래)

- 소프트웨어(지능, 서비스)의 결합

- 스마트홈, 웰니스, 호텔식 서비스(컨시어지) 등

- 계약면적 배율: 약 2.6배 전망

단편적으로 위는 청담르엘 국평 예시인데요,

현 프리미엄 아파트를 예시로 잡아본다면

계약면적(196.2m²)을 전용면적(84.7m²)로 나눌 시

약 2.3의 배율이 나오게 됩니다.

잠실르엘의 경우 약 2.35배 정도입니다.

결론적으로 2.4배수는 합리적 수치로 볼 수 있습니다.

4. 결론은?

(*평당 공사비 1,000만 원 가정)

1. 25평 (전용 59.95m²) 예시

- 계약면적: 18.13평 × 2.4 = 43.51평

- 예상 공사비: 43.51평 × 1,000만 원 = 약 4.35억 원

2. 34평 (전용 84.95m²) 예시

- 계약면적: 25.69평 × 2.4 = 61.66평

- 예상 공사비: 61.66평 × 1,000만 원 = 약 6.17억 원

(참고: 59m² 대비 약 1.82억 원의 공사비 원가 증가)

3. 50평 (전용 120m²) 예시

- 계약면적: 36.30평 × 2.4 = 87.12평

- 예상 공사비: 87.12평 × 1,000만 원 = 약 8.71억 원

(참고: 59m² 대비 공사비 원가가 약 2.0배)

다만, 대형 평형(120m²)이 소형 평형(59m²) 대비 

약 2배 정도가 되는 건축 원가로 계산되지만,

실제 공사는 단지 전체를 한 번에 진행하므로 

'규모의 경제' 효과가 작동하게 됩니다. 

(자재 대량 구매, 공정 통합에 따른 디스카운트 효과)

따라서 실 부담액이 예시처럼 정확히 2배는 아니라는

점은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용이 길어져서 2편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올림픽훼밀리(올훼) 정보

https://www.notion.so/27c6e342c94a80bf920addde22b7f4ae​


#급매물
댓글

부산 아파트 분양

부산 미분양 아파트

광안드파인

르엘리버파크센텀

동래반도유보라

센텀파크sk뷰

블랑써밋74

부산테넌바움294

이편한세상송도더퍼스트비치

우암해링턴마레

아틀리에933

사하경남아너스빌

에코델타시티아테라

센텀롯데캐슬르엘

더샵당리센트리체

당리한화포레나

가야역롯데캐슬스카이엘

사직힐스테이트아시아드

범천힐스테이트아이코닉

쌍용더플래티넘아시아드

쌍용더플래티넘서면

남천써밋

동래안락푸르지오

번영로롯데캐슬센트럴

일광유림노르웨이숲오션포레

한화포레나부산덕천3차

bifc2스퀘어가든

창원메가시티자이앤위브

범일신화하니엘팔라시오

센텀우성스마트시티뷰

해운대중동스위첸

에코델타시티중흥s클래스

광안센텀비스타동원

더샵광양레이크센텀

양산자이파크팰리체

인스피어마린시티

부산 부동산 급매물

분양권실전투자

부산 아파트 분양

부산 미분양 아파트

부산 하이엔드 브랜드 아파트 분양 예정 현장

해운대 중동 아크로

해운대 디에이치 아센테르

광안 아이파크 클라루스

래미안 수영더퍼스트

해운대 우동 삼한골든뷰

번영로 롯데캐슬

일광 유림노르웨이숲 오션포레

한화포레나 덕천 3차

BIFC2 스퀘어가든

창원 메가시티 자이앤위브

범일 신화하니엘

센텀 우성 스마트시티뷰

해운대 중동 스위첸

에코델타시티 중흥 S클래스

광안 센텀비스타동원

더샵 광양레이크센텀

양산 자이

양산 자이 파크팰리체

거제역 양우내안애

서면 어반센트 데시앙

서면 데시앙

부산 장안지구 우미린 프리미어

장안지구 우미린

기장 우미린

서면 푸르지오 써밋

서면 써밋

비트코인 토토

비트코인 놀이터

먹튀인증

먹튀검증

아크로 광안

아크로 라로체

부산 부동산 급매물

부산 상가 매매

부산 상가주택 매매

부산 빌딩 매매

부산 꼬마빌딩 매매

부산 토지 매매

부산 임야 매매

부산 상가건물 매매

부산 통원룸 매매

부산 건물 매매

부산 상가 전문 부동산

부산 매매 전문 부동산

부산 주택 전문 부동산

부산 건물 전문 부동산

동래 반도유보라

동래 반도유보라

동래 반도유보라

더샵 당리 센트리체

더샵 당리 센트리체

더샵 당리 센트리체

르엘 리버파크 센텀

르엘 리버파크 센텀

르엘 리버파크 센텀

블랑 써밋

블랑 써밋

블랑 써밋

창원 메가시티 자이앤위브

창원 메가시티 자이앤위브

창원 메가시티 자이앤위브

창원 메가시티 자이앤위브

더샵당리센트리체

센텀롯데캐슬르엘

르엘리버파크센텀

블랑 써밋

센텀파크SK뷰

해링턴마레

가야역 롯데캐슬 스카이엘

에코델타시티 아테라

테넌바움

사하 경남아너스빌 시그니처

아틀리에933

송도 이편한세상 더퍼스트비치

동래 안락 푸르지오

동래 반도유보라

당리 포레나

남천 써밋

드파인 광안

쌍용더플래티넘 동래 아시아드

쌍용더플래티넘 서면

힐스테이트 사직 아시아드

힐스테이트 범천 아이코닉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트레파크

에코델타 푸르지오 트레파크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푸르지오 트레파크

동래반도유보라

창원 메가시티 자이

르엘 리버파크 센텀

에코델타 중흥

에코델타 아테라

진해 메가시티 자이

장인지구 우미린

푸르지오 트레파크

써밋 리미티드 남천

덕천 포레나 3차

포레나 덕천 3차

분양권실전투자

쌍용더플래티넘 연제

힐스테이트 문수로 센트럴

서면 써밋 더뉴

한화포레나 울산무거

한화포레나 부산대연

더파크 비스타동원

힐스테이트 가야

힐스테이트 더퍼스트 상가

해운대 베뉴브

해운대 엘마르 스위첸

쿠팡 추천

다이소 추천

쿠팡 베스트

다이소 베스트

쿠팡 가성비

다이소 가성비

해운대 엘마르 스위첸

bifc 시그니처

힐스테이트 양산물금

호반써밋 센트럴베이

동래푸르지오 에듀포레

동래 에코팰리스 아시아드 2차

sky v 센텀시티

sky v 부산북항

sky v 울산우정혁신도시

더파크 비스타동원

더샵 신문그리니티 2차

더샵 신문그리니티

김해 안동 에피트

김해 안동 한라비발디

김해 한라에피트

양산 힐스테이트 포레스티지